✅ 국립과천과학관 소행성의 날 돔 콘서트 추천 이유는
- 주말 밤 시간 동안(7시~9시 반 정도) 체험이 다채로웠다.
- 사실 천문대 프로그램 있는 줄은 모르고 예약했는데(처음이라) 수도권 도심에서 멀리가지않고X 고가X 천체 관측을 할 수 있는 것만도 행운이라고 생각한다.
- 앞부분 소행성에 대한 강의와 질의응답 시간도 최대한 어린이의 시각에서도 볼 수 있게 잘 구성되어 있었다. 사실 소행성에 대한 내용은 성인인 나의 시각에도 생소한데 이렇게 접할 수 있어서 정말 좋았다. 하지만 아이들은 지루할 수 있기에 강의 시간은 길지 않고 딱 좋았던 듯 하다.
- 더불어 과학을 좋아하는 수많은 어린이들을 구경할 수 있어서 좋았다. (약간의 동질감과 더불어 아니 저렇게 똑똑한 아이들이 많다니.. 하는 느낌 ㅋㅋ)
✅ 국립과천과학관 소행성의 날 돔 콘서트 예약 방법은
🔹예매기간: 6월 19일 오전 9시 ~6월 30일 오후6시
과천 과학관 홈페이지에서 공지에 따라 선착순 예약한다.
대략 2주 전쯤 공지가 되고, 220명 정원이라 바로 매진되지는 않는다.
🔹일시: 7.1(토) 오후 7시~9시 30분
🔹요금: 1인 10,000원, 주차비 없음, 연간회원 20%, 장애인, 경로우대자, 국가유공자, 다자녀가구 50% 할인
과천과학관과 함께 둘러봐도 괜찮을 듯 하나, 과학관은 5:30에 닫으므로(발권마감 4:30, 입장료 외 주차비 5,000원부과됨) 참고
우리집은 그냥 행사만 단독으로 참여했다.
🔹내용: 과학토크 + 코코보라 사이언스 쇼 + 클래식연주/돔영상쇼 + 공작체험 + 천체관측
https://smart.sciencecenter.go.kr/
국립과천과학관
smart.sciencecenter.go.kr
아무도 없(어보이)는 과천과학관에 해질녘에 들어간다는 자체가 벌써 흥분이다. VIP 된것 같은 기분이 듬 ㅋㅋㅋㅋㅋ
불과 일주일 전 지난주 이시간 토크 콘서트 참여할 때에는 이렇게 밝지 않았는데, 그 새 낮이 더 길어졌다.
대 흥분해서 러닝 ㅋㅋ
소행성에 대한 김명진 박사님의 강의가 참 알찼다. 그리고 과학 커뮤니케이터 지구님, MC이신 허채무님의 정리도 참 깔끔하고 듣기 좋았다. 클레프 아츠의 공연과 돔 영상 상영도 다 좋았다. 너무 열심히 들어서 사진은 하나도 못찍었는데, 내가 메모한 것, 유튜브에 강의가 있길래 첨부해 본다.
내가 한 강의 메모 ㅋㅋㅋ ❓소행성의 궤도에 대해서? 소행성 모양이 울퉁불퉁하여 방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수만년에 10cm 정도 궤도가 변하고는 한다. 야루모프스키 효과 ❓소행성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? 1. 태양계 생성시에 만들어진 먼지+가스 들인 경우 2. 먼지가스가 주변을 끌어당겨 조금씩 큰 성장을 하다가 작은 크기로 쪼개지는 경우가 있다. ❓소행성과 혜성의 차이? 소행성+혜성+등 = 소천체라고 한다. 표면이 깨끗하면 소행성 여드름처럼 분출이 터지고 먼지가 터지고 하면 혜성 # 예전엔 소행성이었는데 뭔가와 부딪쳐서 분출 등이 생기면? 소행성에서 혜성으로 전환된다. # 혜성으로 살다가 가스 등이 소진된 혜성은 소행성이 아니라 죽은 혜성이라고 한다.(휴혜성) ❓유성체/운석/유성의 차이? 별똥별=meteor=유성=현상o 천체x 땅에 떨어진 그 돌은 운석 대기권에 진입하기 전의 천체=유성 ❓대한민국의 소행선 탐사선 2029 아포피스 소행성 근접이 예정되어 있으나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확실하게 예정된 바는 없다. 소행성 연구를 하는 박사님들이 아직 몇 분 안계시니 열심히 하는 학생은 대한민국에서 양손 안에 꼽히는 소행성 전문가가 될 수 있을듯 ❓특히 일본 JAXA의 하야부사가 소행성 류구 샘플 채취 및 경로 변경을 위한 충돌 실험의 비행 경로를 계획하시는데 참여하셨다고 하셔서 신기했음. ❓개인적으로 박사님의 이름이 붙은 소행성에 대해 질문하고 싶었는데 못했다. |
이후는 두 가지 체험으로 나누어져 먼저 하고 싶은 것부터 하면 된다.
소행성 책갈피 만들기 체험
관측(천문대와 광장의 달로 나누어 관찰)
광장 -> 달
천문대 -> 금성(상현 모양에 가까운 위상), 사냥개자리의 코르카롤리(맞는지 불확실)(110광년, 쌍성이라 망원경으로 2개임이 확인됨.
천문대-금성 관측
천문대 - 코르카롤리 관측(사냥개자리, 110광년, 쌍성)
너무 예쁜 밤의 과천과학관 천체투영관과 달
책갈피 만들기 체험
'1일 1우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과학/천문 체험 추천] 군포 누리 천문대 태양 관측 (0) | 2023.07.05 |
---|---|
화성 탐사 로버 Curiosity 트위터 털기 (1) | 2023.05.24 |
[23.04.29.] NASA 홈페이지에서 만난 반가운 다누리호 소식(Shadowcam이 찍은 사진 등) (1) | 2023.05.05 |
23.4.22(토)밤~23(일) 새벽 천체 관측 정보 (은하수 관측/거문고자리 유성우/행성 정렬) 나는 은하수를 못 본 건가 안본건가? (0) | 2023.04.19 |
달로 간 우리 달탐사선 다누리호 근황!!- 달 뒷면 사진을 보내옴!(23.4.12) (4) | 2023.04.16 |